광화문 교보빌딩앞 칭경기념비 - 서울의 도시 원점

 
반응형

서울에서 부산까지 몇km라고 할때 그 시발점이라고 하는 칭경기념비각..
물론 고속도로에 나와있는 거리기준은 톨게이트를 기준으로 하고, 경부고속도로는 한남대교 남단을 기준 시점으로 잡는다고...

간만에 광화문에 나왔다가 한장찍고 엠파스 백과서전에서 자료를 찾아봄...

그러면서 이런 생각을 해본다...
나의 시작은 어디이고, 나의 끝은 어디인지를...

사용자 삽입 이미지





고종즉위40년칭경기념비 [高宗卽位40年稱慶紀念碑]

종 목 : 사적 171호
명 칭 : 고종즉위40년칭경기념비 (高宗卽位40年稱慶紀念碑)
분 류 : 비지
지정일 : 1969.07.18
소재지 : 서울 종로구 세종로 142-3
시 대 : 대한제국시대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종로구

고종(재위 1863∼1907)이 왕이 된지 40주년과 그의 나이 51세에 기로소에 들어 간 것을 기념하기 위해 세운 비석으로 비를 보호하는 비전(碑殿)안에 있다. 또한 이 비석에는 고종이 처음으로 나라 이름을 대한제국으로 고치고 황제의 칭호를 사용한 것을 기념하는 의미도 담겨 있다. 기로소(耆老所)는 정2품 이상의 문관 중 70세 이상 된 사람을 우대하는 제도로, 고려 때의 기영회를 계승한 관제이다. 조선 태조가 60세 되던 해에 친히 기영회에 들어갔는데, 이후 왕들이 오래살지 못해 기로소에 들어가는 이가 없자, 숙종과 영조 등이 60세를 바라보는 나이라 하여 미리 앞당겨 들어간 것을 본받아 고종은 신하들의 건의에 따라 51세에 들어가게 되었다. 비석은 귀부, 비몸, 이수로 구성되어 있는데, 비몸 앞면에는 황태자인 순종의 글씨가 있으며, 비문은 윤용선이 짓고 민병석이 썼다. 비를 보호하기 위한 건물은 앞면 3칸·옆면 3칸의 정자(停子)형 건물로 건물 기단 둘레에 돌난간을 설치하였다. 이 건물의 남쪽에 설치한 문은 돌기둥을 세우고 철문을 달았는데, 문의 가운데칸에는 무지개 모양의 돌을 얹어 ‘만세문’이라는 이름을 새겨 넣었다. 이 문은 일제시대 일본인이 떼어 가서 대문으로 사용하던 것을 광복 이후 찾아와 복원한 것이다. 비를 보호하고 있는 비전은 20세기초 전통적인 건축양식의 틀이 해체되기 직전에 세워진 건물로 당시 이러한 유형의 건물 중 대단히 아름다운 건물이며, 이 시기에 세워진 덕수궁의 다른 여러 건물과 함께 중요한 연구자료가 된다.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에 있는 대한제국시대의 비. 1902년 건립. 총 높이 450㎝, 비신높이 250㎝, 너비 95㎝, 두께 40㎝. 사적 제171호. 고종의 즉위 40돌을 기념하고 아울러 51세가 되어 기로소(耆老所 : 나이 많은 왕이나 70세 이상의 문관이 들어가 대접받던 곳)에 입사한 일을 기리기 위하여 세웠다.

비신은 장방형 대리석으로 맨 위쪽에 ‘大韓帝國李皇帝寶齡望六旬御極四十年稱慶紀念碑頌(대한제국이황제보령망육순어극사십년칭경기념비송)’이라는 전액(篆額)을 사면에 둘러 새기고, 그 밑으로 앞면과 뒷면에 서(序)와 송(頌)을 새겼다.

몸돌 위에 얹은 이수는 몸돌보다 너비가 크고 높이도 아주 높아 웅대한 느낌을 주도록 만들었다. 돌의 표면은 전체적으로 얕은 부조(浮彫)로 장식하였는데, 밑바닥에는 연꽃무늬를 새기고, 앞면에는 가운데 아랫부분에 오얏꽃〔李花〕을 두고 그 양쪽에 두 마리의 용이 마주보도록 하였다.

귀부·비신·이수로 구성되는 이와 같은 형식은 통일신라 이래의 전형적인 형식이며, 귀부와 이수의 표현에서 조선시대 나름의 독자적인 형식적 특징이 엿보인다. 비에 새긴 글씨를 살펴보면, 전액은 황태자(뒷날의 純宗)가 썼고, 비문은 영의정 윤용선(尹容善)이 짓고 육군부장 민병석(閔丙奭)이 썼다.

한편, 이 비를 보호하고 장엄하기 위하여 세운 기념비전은 이중 기단 위에 앞면 3칸, 옆면 3칸의 정방형 평면을 구성하고, 팔각형으로 다듬은 높은 주춧돌 위에 기둥을 놓고 이를 창방과 평방을 차례로 얹어 짜맞춘 다음, 삼출목(三出目)의 공포를 짜올려 4모지붕을 받친 다포식건물(多包式建物)이다.

남쪽에 둔 3문(三門)은 돌로 기둥을 세우고, 그 사이에 철문을 달아맨 보기 드문 형식을 택하고 있으며, 문기둥에는 앞면에 식물무늬를 얕은 돋을새김으로 새기고 위쪽에 돌짐승을 하나씩 앉혔다.

가운데 문 위에는 무지개 모양의 돌을 얹고 그 가운데 얕게 감실을 파서 ‘萬歲門(만세문)’이라는 이름을 새겨넣었다. 그 편액 바로 위에는 난간을 받치는 연잎 모양 동자기둥을 본떠서 만든 대좌를 놓고, 그 위에 남향을 상징하는 주작(朱雀)을 놓았다.

아래층 기단의 4면에 두른 난간에도 방위에 맞추어 사신(四神)과 십이지에 해당하는 동물상을 배열하였다. 남쪽 기단 앞에는 도로원표(道路元標)가 있다.

이 비전의 북쪽인 경복궁쪽에 기로소가 있었다는 점도 비전의 위치선택에 영향을 미쳤으리라 짐작된다. 20세기 초 전통적인 조영체제가 해체되기 직전에 세워진 건물로서, 덕수궁 내의 여러 건물과 더불어 중요한 연구자료가 된다.

≪참고문헌≫ 서울의 傳統文化 2(서울特別市史編纂委員會, 1986)
≪참고문헌≫ 서울文化財大觀(서울특별시, 1987)
≪참고문헌≫ 서울金石文大觀(서울특별시, 1987)
≪참고문헌≫ 石碑의 발생과 樣式變遷(李浩官, 韓國의 美 15-石燈·浮屠·碑-, 中央日報社, 1985)



도로원점


현재 서울의 도로원표는 1997년 12월 29일 세종로 광화문 네거리인 세종로 파출소 앞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 도시간 거리 측정의 원점은 세종로 광화문 네거리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교통장해 등으로 인하여 도로원표를 가까운 곳에 옮겨 놓은 것이다. 이 원표는 거듭된 행정구역 확대 개편과 함께 서울의 면적이 넓어지면서 서울의 중심점을 찾기에는 너무나 어려움이 많다. 세종로의 광화문 네거리의 미관광장 내에 있는 현재의 도로원표는 서울과 전국 53개 도시간 도로상 실제 거리 및 연계상황, 64개 국외 도시의 직선 거리가 바닥면에 새겨져 있다.
원래 도로 원표는 1914년 일제 때 현 세종로 네거리의 중심에 한반도 18개 도시의 거리가 표시된 표석을 설치한 것이 시초다. 이후 일제 중엽에 두 개가 새로 제작되어 세종로 네거리의 양쪽에 설치 되어 있었으나 1960년대에 세종로의 지하보도 및 도로 확장공사를 하면서 현재의 교보빌딩 앞에 있는 고종황제 칭경기념비각 앞으로 옮겨져 보존되고 있다.물론 각 도시마다 이러한 원점이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