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의종군(白衣從軍) - 벼슬 없이 군대를 따라감

 
반응형
벼슬이 없는 사람이 군대를 따라 전쟁터로 나간다라는 뜻으로,
관직이나 벼슬에 올라있던 사람이 그 직을 내려놓고, 백성의 신분으로 싸움에 임한다는 의미...

이번에 김태호가 총리직에서 결국 자진사퇴로 물러나면서 쓴 말인데, 자주 듣고 대충의 의미는 알지만, 정확히 어떤뜻인지 찾아봄...

조선시대 관리들이 의식에 참가할 때 복장은 금관조복(金冠朝服)이었습니다. 검은색과 금색으로 된 금량관(金梁冠)을 쓰고 붉은 비단으로 만든 조복(朝服)을 입었다는 것입니다. 집무 때는 소매가 넓고 깃이 둥근 단령(團領)을 입고 직급에 따라 색깔이 다른 도포를 걸쳤습니다. 무관이 입는 철릭·협수·전복(戰服) 등 군복은 다양한 문양을 넣어 화려함이 더했습니다. 그러나 일반 백성은 대개 흰옷을 입었습니다. 그래서 ‘백의(白衣)’는 벼슬하지 않은 사람의 상징이었던 것입니다. 여기에서 백의종군이란 말이 나오게 됩니다. 즉 벼슬이 없이 군대에 복무하게 되니까 직책에 맞는 옷이 없고 따라서 일반백성들이 입는 흰색 옷을 입는다는 것입니다.

이순신 장군은 두 차례나 백의종군(白衣從軍·벼슬 없이 군대를 따라감)을 했습니다. 첫 번째는 함경도 녹둔도 둔전관이던 1587년 여진족의 기습을 막지 못한 데 책임을 지고서였습니다. 그는 이듬해 여진족 정벌전에서 공을 세워 사면됐습니다. 충무공은 10년 뒤 임진왜란 때 또 한 번 백의종군하게 됩니다. 부산에 있던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의 왜군(倭軍)을 공격하라는 조정의 명령을 전략상 판단으로 따르지 않아 파직된 것입니다. 그는 후임인 원균이 칠천량 해전에서 대패하고 전사한 뒤 다시 수군(水軍) 총지휘관으로 복직하게 됩니다. 백의종군은 이처럼 대부분 패전과 관련된 것이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었습니다. 중종 7년 5월 7일 부제학 권민수가 쓴 상소에는 “예로부터 변방의 백성이 한 사람이라도 오랑캐에게 납치되면 주장(主將)은 백의종군하였다”는 내용이 나옵니다. 임진왜란 발발 직후에는 임금의 피란 행렬을 호위하는 무사들이 너무 적다고 하여 책임자들을 백의종군시키기도 했습니다. 백의종군하는 장수의 신분에 대해서 ‘병졸 강등’ ‘보직 해임’으로 해석이 엇갈립니다.이순신이 첫 백의종군 때 참가한 여진족 정벌전을 그린 전투도에는 비록 백의종군을 하는 위치였지만 그가 장수의 한 사람으로 돼 있습니다. 이처럼 백의종군은 잘못에 대한 처벌인 동시에 명예회복의 기회이기도 했던 것입니다.

출처 - 다음지식
 
반응형